유량제어밸브
유압실린더나 유압모터 등 유압작동기의 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이며 관로일부의 단면적은 줄여서 저항을 주어 유압회로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명, 속도제어밸브라고도 한다.
1. 교축밸브(thrott1e valve) 유압구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밸브로서 작동유의 점 성에 관계없이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어유량은 선형적으로 제어하기가 가능하고 조정범위가 크며 미소유량으로 움직임으로서 대유량까지 조정하는 밸브이다. 일반산업기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교축전후의 압력차가 증가해도 미수유량을 조절 하기가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2. 집류밸브 : 두 개의 유압관로의 압력에 관계없이 소정의 출구유량이 유지되도록 합류하 는 밸브이다.
3. 스톱밸브(정지밸브) : 조정핸들을 조작함으로서 교축부분의 단면적을 변경시켜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그러나 유압용으로 사용할 경우 교축전후의 압력 차이가 클 때에는 미소유량을 조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동유의 흐름을 완전히 벚게 하든가 또는 흐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때 사용되며 상수도용, 유압용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4. 유량조절밸브 : 압력보상기구를 내장하고 있 으므로 밸브입구 및 출구의 압력에 변동이 있더라도 압력의 변동에 의하여 유량이 변동 되지 않도록 회로에 흐르는 유량을 항상 일 정하게 자동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방향제어밸브
관로내 기름의 개폐작용 및 역류를 저지하며 작동기의 시동장치 및 운동방향 등을 전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유압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1. 체크밸브(역지밸브 check valve) 한방향의 유동을 허용하나 역방향의 유동은 완전히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밸브로서 밸브본체 포핏 또는 볼, 시트, 스프링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형식에 따라 흡입형, 스프링부하형, 유량제한형, 파일릿조작형으로 나누어진다.
2. 감속밸브(디셀러레이션밸브 deceleration valve) 유압실린더나 유압모터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밸브이다. 적당한 캠기구로 스풀을 이동시켜 유량의 증감 또는 개폐작용을 하는 밸브로서 상시개방형과 상시폐쇄형이 있다. 또한, 귀환운동을 자유로이 하기 위하여 체크밸브를 내장시킨 것이 있다. 이들 감속밸브의 스풀끝에는 롤러 또는 캠이 붙어있어 이것에 의하여 스풀을 작동시킨다.
3. 셔틀밸브(shutt1e valve) 출구측 포트는 개의 입구촉 포트관로 중 고압측과 자동적으로 접속되고, 동시에 저압측 포트를 막아 항상 고압측의 유압유만을 통과시키는 전환밸 브이다.
4. 스풀밸브 : 매뉴얼밸브라 하며 하나의 축상에 여러개의 밸브면을 두어 직선운동으로 유 로를 구성하여 오일의 흐름방향을 변환하는 밸브이다.
5. 전환밸브 : 유압회로에서 기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한편 유압원, 유압실린더, 유압탱크 및 기타 조작계통간의 회로에서 기름의 흐름을 정하는 밸브이다.
6. 포핏밸브(poppet valve) 밸브몸체가 밸브시트의 시트면에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형식의 소형밸브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짧은 거리에서 밸브를 개폐할 수 있다. 연결구는 볼, 디스크, 평판, 원뿔형 등이 있다.
'기계 공학(mechanical engineering) > 기계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공작 용접 (0) | 2023.04.24 |
---|---|
기계유체역학 오일탱크(oil tank)와 축압기(accumulator) (0) | 2023.04.24 |
기계유체역학 펠톤수차 (0) | 2023.04.24 |
기계설계 리벳작업(riveting) (0) | 2023.04.23 |
기계설계 리벳이음(rivet joint) (0) | 2023.04.23 |
댓글